반응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창에 www.tistory.com과 같이 주소를 입력하면,

이 주소는 일단 IP 주소로 변환된 다음,

네트워크 상의 해당 주소를 찾아가서 연결을 하게 된다.


여기서, www.tistory.com과 같은 사이트 주소를 도메인이라 하는데,

이러한 도메인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이다.


네트워크 설정 창에서 TCP/IP 속성을 확인해 보면,

'자동으로 DNS 주소 받기' 혹은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중 하나에 

체크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소창에 입력한 주소는 여기에 정의된 DNS 서버를 거치면서 IP로 변환되어

해당 사이트를 찾아가게 되는데,

DNS를 참조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로컬 DNS 정보 파일
  2. DNS 서버

즉, 로컬 DNS 정보 파일에 해당 도메인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DNS서버를 거치지 않고 해당 IP를 찾아 갈 수 있게 된다.


로컬 DNS 정보 파일은 hosts라는 이름의 파일이며,

다음 위치에 존재한다.

  1. Windows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2. Linux
    • /etc/hosts

위의 hosts 파일을 열어서 수정해 주면, 로컬 DNS를 정의할 수 있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IP 주소]    [도메인명]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180.70.93.117    www.tistory.com


로컬 DNS 설정을 잘못할 경우에는, 

도메인 주소를 치더라도 페이지가 로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잘만 이용하면, 외부 DNS 서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IP주소를 찾아갈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 로딩 속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